-
부동산 세금, 공동명의가 절세에 유리할까?부동산 2021. 4. 30. 09:00
공시 가격은 재산세, 보유세 등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이 되고 건강보험료 등 복지행정과 각종 부담금, 학자금 대출 등 60여 가지 행정목적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시 가격이 오를수록 주택을 소유한 사람은 세금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죠.
더보기재산세 및 종부세 과세 기준일은 6월 1일입니다. 이날 단 하루만 보유해도 모든 재산세와 종부세가 부과됩니다. 주택을 처분할 계획이 있다면 5월 31일까지는 팔아야겠죠. 양도나 증여를 통해 주택을 처분할 수도 있고, 임대 주택 등록을 통해 종합부동산세를 줄이는 방법도 있습니다.
절세하려면 공동명의가 유리한가요?
종합부동산세는 개인별 과세입니다. 20억짜리 집을 부부가 공동명의로 갖고 있다면 남편은 10억의 1 주택자, 아내는 10억의 1 주택자가 됩니다. 개인별 과세이기 때문에 각각 10억이라는 주택 금액에 세금이 부과됩니다.
1세대 1 주택자라면 공동명의를 통해 금액을 절반으로 쪼개는 것이 유리하지만 다주택자라면 증여나 양도를 통해 한 사람씩 1 주택자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종부세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1주택자는 일반 세율이 부과되지만, 다주택자는 중과 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공시가격이 오르기 전에 증여/양도하기
증여를 계획 중이라면 공시 가격이 인상되기 전에 서두르는 게 유리합니다. 증여세는 최근 발생한 매매가, 감정가, 유사매매 사례가로 평가하지만 이런 금액이 없을 경우 공시가격으로 평가합니다. 또한 증여로 취득하는 주택은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취득세를 과세하므로 공시가격이 발표되기 전에 증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어떤 주택을 양도하거나 증여할 때는 어떤 주택을 먼저 해야 6월 종부세에서 유리한지 시뮬레이션을 돌려보고 의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략적으로 명의 분산하는 방법, 임대주택 등록에 따라 종합부동산세 부담을 줄이는 방법 등 나에게 적용되는 부동산 세법을 정확히 알아야 똑똑하게 절세할 수 있습니다.'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범한 직장인도 가능한 다가구주택 투자 방법 (0) 2021.04.29 도심 속 협소주택, 장기적으로 가치가 있을까? (0) 2021.04.08 청약 통장은 월 10만 원씩 넣으세요 (0) 2021.03.12 흙수저지만 부동산 투자는 하고 싶어 (0) 2021.03.03 고시텔로 창업을 한다고? (0) 2021.02.23